연금저축펀드란? 연금저축펀드에 대해 알아보자(feat. 연저펀)

2025. 2. 16. 07:05경제 관련

안녕하세요. 

세바리입니다. 

안정적인 노후는 모든 사람이 꿈꾸는 것이죠. 

저 역시도 안정적인 노후에 관심이 많은 편인데요,

오늘은 그런 노후를 보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연금저축펀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최근 국민연금의 기금 고갈에 관한 뉴스가 많이들 올라오죠. 

국민연금 기금고갈 by 중앙일보

모든 국민의 노후를 보장하는 국민연금의 기금이 고갈될 수 있다고? 

네 유감입니다만 앞으로는 더 내고 덜 받는 구조가 될 것이고, 저출산의 시대에

 

국민연금의 장밋빛 미래가 펼쳐질 일은 희박할 것 같습니다.

이런 일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ISA, IRP와 연금저축펀드, 연금보험 등등의 여러 가지 투자처들이 존재합니다. 

1. 개요

우선 시작하기에 앞서 미국의 경우를 한 번 살펴볼까요? 

금융 선진국답게 미국도 역시 국민연금과 같은 역할을 하는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401K'인데요. 

401k는 1978년 제정된 미국 내국세법의 401조 k항의 줄임말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직장인의 월급 일부를 주식에 투자함으로써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미국의 직장인들은 바로 이 조항 덕분에 안락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것입니다.

 

한국 역시 연금 기금 고갈로 인해 사적 연금 가입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에 세액공제나 과세이연등의 혜택을 주면서 말이죠. 

연금저축펀드는 각 증권사 앱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2. 특징

연금저축펀드는 한 번 가입하면 만 55세가 되기 전까지는 중도 출금이나 해지가 번거롭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니고, 한 번 출금을 하거나 해지를 하게 되면 그간 받았던 세액 공제의 혜택을 다 뱉어내야합니다. 

 

또한, 연금저축펀드는 국내주식시장에 상장된 종목들만 매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500 ETF를 사고자 한다면, 미국 주식인 'VOO'나 'SPY'가 아닌 

TIGER 미국 S&P 500이나 RISE 미국 나스닥 100과 같은 종목들만 매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S&P500과 나스닥100이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주린이 분들은 

https://sehyun3528.tistory.com/entry/ETF%EB%9E%80-ETF%EC%97%90%EB%8C%80%ED%95%B4-%EC%95%8C%EC%95%84%EB%B3%B4%EC%9E%90-feat-ETF-%EC%B6%94%EC%B2%9C-ETF-%EC%9E%A5%EA%B8%B0%ED%88%AC%EC%9E%90

 

ETF란? ETF에대해 알아보자 (feat. ETF 추천, ETF 장기투자)

안녕하세요. 세바리입니다.  오늘은 ETF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요새 ETF가 무척이나 핫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ETF에 투자하면 좋은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

sehyun3528.tistory.com

제가 작성한 ETF 관련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3. 장점 

① 세액공제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하면 총 급여액에 따라 최대 148.5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총 급여액(종합소득금액)
5,500만원 이하 5,500만원 초과
기본 한도 600만원(연금저축펀드만)
추가 한도 300만원(ISA 만기시 연저펀으로 전환한 금액의 10%)
최대 공제 대상금액 900만원
세액 공제율 16.5% 13.2%
연말 정산 최대 환급액 148.5만원 118.8만원

 

② 과세이연

연금저축펀드에서 배당을 받거나 매매를 함으로써 얻는 이익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장기투자에 가장 적합한 상품인 셈이죠. 

배당소득의 경우 원칙적으로 배당소득세 15.4%를 감면하고 지급받지만, 연금저축펀드를 통해 

배당을 받는 경우 만기 수령 시 3.3% ~ 5.5%의 낮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양도소득의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양도소득세 22%(해외 지수 추종 ETF인 경우)를 감면하지만, 

연금저축펀드를 통해 매매한다면 마찬가지로 3.3% ~ 5.5%의 낮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연저펀이 장점만 가진 만능 상품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꼭 그런 것만도 아닙니다.

4. 단점

① 중도해지시 세금 발생

연금저축펀드는 만 55세가 되기 전에 중도해지한다면 그간 면제받았던 세금을 한꺼번에 부담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출 이벤트가 많은 사회 초년생이나 30대에는 가입하기 어렵습니다. 

한 번 가입한다면 만 55세까지 쭉 들고간다는 생각으로 가입하는게 좋을 것입니다.

 

②원금 손실 가능성, 예금자 보호 X

연금저축펀드는 주식을 보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5,000만원까지 보호해주는 예금자 보호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5. 바람직한 운용 방법 

① 중도해지 하지 않는다. 

연금저축펀드에 한 번 가입한다면 자유로운 입금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액공제 최대 인정 금액인 연 600만원까지 납입하되, 부담이 가능한 선에서 자유롭게 입금하면 좋을 것입니다. 

 

② 국내 상장 미국 지수 ETF를 매수한다. 

연금저축펀드는 한 번 매수하면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S&P500, 나스닥100, 빅테크 등의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적립식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ETF를 투자한다면 수수료가 가장 저렴한 ETF에 투자한다.

연금저축펀드는 보유 종목을 장기 보유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저렴하면 저렴할수록 좋습니다.

각 ETF별 실질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https://www.etfcheck.co.kr/mobile/main

 

ETF CHECK

ETF CHECK 에서 국내외 상장되어 있는 ETF, ETN의 모든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www.etfcheck.co.kr

TIGER 미국 S&P500이 최근 업계 최저보수 인하라고 광고하고 있는데요,

ETF CHECK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실부담 수수료가 얼마인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TIGER 미국 S&P500의 실부담 수수료는 0.2%이군요. 1억 투자시 연 20만원 정도의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이야기입니다. 

6. 추천 증권사와 추천 ETF

연금저축펀드는 매매시 거래수수료를 내는데, 당연히 저렴하면 저렴할 수록 좋겠죠?

증권사별 거래수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저렴한 수수료를 지닌 증권사는 보라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참고로 저는 나무 증권을 애용하기 때문에 나무 증권에서 연금저축펀드를 운용 중입니다.

(출처는 금융투자협회입니다.)

증권사명 주식 ETF
삼성 0.157 0.004
KB 0.197 0.005
나무 0.197 0.004
한국투자 0.142 0.004
하나 0.097 0.149
키움 0.015 0.003
토스 0.015 0.015
미래에셋 0.14 0.003
신한투자 0.189 0.004

                                                                                                               단위  : %

구분 종목
미국S&P500 미국 나스닥100 미국테크TOP10
특징 S&P500 지수를 추종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 나스닥에 상장된 기술주 中
시가총액 상위 10개로 구성
장점 안정성 ↑, 변동성 ↓ 수익성 ↑  수익성 ↑↑
단점 - 변동성 ↑ 변동성 ↑↑

 

위 표를 참조하여 자신의 투자 성향에 알맞은 종목의 ETF를 골라서 투자하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저기서 다루지 않은 '미국배당다우존스' 등이 있지만 여기서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SOL 미국테크TOP10'에 투자 중입니다. 

미국테크TOP10 ETF 상품 중에서 가장 저렴한 수수료(0.2640%)이기 때문이죠.

일반 계좌에서 S&P500을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연저펀에서까지 슨피를 살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매입가 : 13,306원 

보유수량 : 141개 

평가 금액 : 1,907,025원

올해는 매달 20 ~ 30만원씩 투자하여 수량을 늘릴 계획입니다. 

부디 현재가가 매입가보다 낮아지기를 바랍니다.

 

이상으로 연금저축펀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P.S.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언제나 본인 몫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