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 00:46ㆍ경제 관련
안녕하세요. 세바리입니다.
저는 경제 분야의 뉴스에 대해 관심이 높은 편인데요,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0708371096553
최근 한 뉴스를 보다가 팔란티어의 PER에 대해서 다루는 기사를 보게 되어
이 부분을 포스팅을 통해 다루면 정말 좋겠다 싶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주식 투자를 할 때 꼭 알아야 하는 개념인 PER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개요
PER은 Price-to Earnings Ratio의 준말로서 주가수익비율이라는 뜻입니다.
PER은 기업이 현재 벌어들이는 수익 대비 주가가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 지를 알려주는 경제 지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PER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ER은 기업의 시가총액을 당기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마젤란 펀드의 창시자 피터린치는 PER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PER은 기업의 성장률이다. -피터린치
즉 위에서 언급한 팔란티어의 PER이 200이라면 향후 200%의 성장률을 기대할 수 있는 기업이라는 뜻이겠죠.
200%의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달성하는 것은 상식적으로는 어렵다는 얘기라는 걸 알 수 있을 것입니다.
2. 특징
PER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PER이 높을수록 주가가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② PE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③ 기술주(엔비디아, 팔란티어 등)의 PER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는 아주 간략하게 특징을 정리한 것인데요, 이 포스팅을 보는 여러분들께서는 PER을 절대적으로 활용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활용하시면 더 유용할 것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단순 PER이 높기만 하다고 고평가 받는 주식이라거나 PER이 낮기만 하다고 저평가 받는 주식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위에서 예시로든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는 2024년 11월 5일 기준 주가는 $51.1였으며 당시 PER은 300.1배였습니다.

하지만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는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신고가의 경신을 거듭하여 마침내 $100를 돌파하였죠.
이 점을 본다면 PER이 기업의 성장 정도를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아무리 높은 PER이라고 할지라도 거기에 걸맞는 재무재표 결과를 보여준다면, 주가가 충분히 상승할 동력이 생기는 것이니까요.
특히나 기술주 중심의 강세장이 펼쳐지는 요즘과 같은 시장에서는 기술주의 PER은 상대적으로 고평가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https://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26428
또 사상 최고가 '팔란티어'...남은 성장 동력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가 최근 발표한 깜짝 실적에 힘입어 주가가 폭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팔란티어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9.8% 급등한 111.28
www.newstof.com
뿐만 아니라, S&P500의 PER은 29.79이며 Nasdaq 100의 PER은 26.3입니다.
개별 종목 뿐만 아니라 지표에 대한 PER을 통해 상대적으로 고평가 상태인지 저평가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결론
이번 포스팅을 통해 기업의 주가수익률을 나타내는 PER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PER은 높을수록 주가가 고평가 되어 있다는 뜻이며, 낮을수록 저평가 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뿐만 아니라 기술주는 PER이 다른 주식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어 있어 재무재표를 분석할 때 주의가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PER의 개념에 절대적으로 맹신하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다른 지표들과 함께 파악하며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ER 뿐만 아니라 PBR 역시 그런 지표 중에 하나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PBR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경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자 (feat. 청도계) (1) | 2025.03.03 |
---|---|
ISA 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자. (feat. 절세계좌) (3) | 2025.03.02 |
배당주 추천 슈드 (a.k.a SCHD) (1) | 2025.03.02 |
주식 투자 명언 모음, 주식 투자 대가들의 명언 (2) | 2025.02.26 |
RSI 란 무엇일까? 과매도, 과매수 신호 알아보기 (1)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