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자 (feat. 청도계)

2025. 3. 3. 02:59경제 관련

안녕하세요 세바리입니다. 

 

저의 대학 동창 및 직장 동료들이 최근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을 들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청년 도약 계좌가 무엇이고 어떤 재테크 상품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저 역시도 청년 도약 계좌를 가입하였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에 입금된 금액이 12,600,000원인데요. 

 

왜 하필 많고 많은 금액 중에 12,600,000원일까요? 

 

1. 개요 

 

청년도약계좌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발표한 청년 전용의 적금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대상자인 청년이 내는 적금과 정부가 지원해주는 지원금을 통해 5년간 최대 5,000만원의 금액을 모을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는 투자 상품입니다. 

 

2. 가입 대상 및 요건 

① 가입 기간 : 2023년 6월 ~ 2025년 12월

 

② 가입 대상 (아래의 조건을 충족해야함)

· 만 19세 ~ 만 34세 청년

· 개인, 가구 소득 요건을 충족한 청

· 가입일 직전 연도 기준 종합소득과세 대상자가 아닌 청년

·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의 소득 증명이 불가능한 자는 가입 불가

 

③ 가입 기간 

가입 기간은 5년입니다. 

 

④ 납입 금액

납임 금액은 월 1,000원 ~ 월 700,000원까지 자유롭게 선택하여 납입할 수 있습니다.

 

3. 특징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은행별 금리입니다. 

 

가입 은행 모두 기본 금리는 4.50%로 고정이고 3년간 고정입니다. 이후 금리가 변동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표를 보면서 주 거래 은행에서 가입하시되, 되도록이면 우대 금리를 최대한으로 받을 수 있는 은행에서 가입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참고로 저는 주 거래 은행인 KB국민은행에서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였습니다. 

 

4. 혜택

 

청년도약계좌에는 비과세, 신용점수 부여, 기여금 지원 등의 여러가지 혜택이 있는데요. 

 

기여금은 정부에서 가입 대상 청년에게 지급하는 보너스인데요, 총소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유의하셔야 하겠습니다. 

 

 

 

평균값으로 2.3만원의 기여급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돈을 계산할 때 편리하겠습니다. 

 

비과세 혜택과 더불어 2025년부터는 이전과 달라진 혜택이 있다고 합니다. 관련 자료를 아래와 같이 첨부합니다. 

 

 

이전의 혜택에 비하면 많이 좋아졌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중도해지시 비과세나 기여금 부분에서 많은 손해를 감수해야 했는데요, 개정을 통해 이런 부분이 완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5. 만기시 혜택

 

청년 도약 계좌에 월 최대 납입 한도인 70만원씩 5년간 납입한다면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일까요?

 

소득구간 3,000만원

적용 금리는 5.4%

월 납입금 70만원

가입기간 60개월 (5년) 

정부기여금 2.3만원 X 60개월 = 138만원

 

으로 가정한다면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월 납입액이 70만원인 경우

4,830만원 + 138만원 이므로

월 7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 받게되는 만기 수령액은 4,969만원입니다.

 

② 월 납입액이 60만원인 경우

4,140만원 + 138만원 이므로 

월 6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 받게되는 만기 수령액은 4,279만입니다.

 

③ 월 납입액이 50만원인 경우

 

3,450만원 + 138만원이므로

월 5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 받게되는 만기 수령액은 3,588만원입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혜택이죠? 

 

하지만 의무 가입 기간이 5년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많은 분들이 유지하는 것을 포기하는 실정입니다. 

 

https://www.p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1279

 

"생활비 부족해서"...청년도약계좌 11만명 중도해지했다 - 퍼블릭뉴스/퍼블릭뉴스통신/퍼블릭경

5천만원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출시 1년이 안 됐는데 10만명이 넘는 청년이 적금을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18일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모두 11만 명이 청년

www.psnews.co.kr

아무래도 생활비를 비롯하여 결혼식, 출산, 주택 구입 등 많은 지출이 예상된 청년들에게 월 70만원씩 5년 동안이나 유지하라는 것은 가혹한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은 자신의 경제 상황에 맞는 가입 금액을 설정하셔서 부디 5년 동안 유지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